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ubernetes
- 자바스크립트
- 블록체인
- 솔리디티
- 컴퓨터공학
- AWS
- 백엔드
- es6
- TypeScript
- JavaScript
- 백준
- k8s
- 웹
- HTML
- 파이썬
- 가상화
- 프론트엔드
- BFS
- next.js
- 리액트
- react
- 알고리즘
- 이슈
- 이더리움
- docker
- VUE
- CSS
- 타입스크립트
- 쿠버네티스
- 클라우드
- Today
- Total

목록📖 es6 (9)
즐겁게, 코드

// utils.js const sayHello = () => { console.log("안녕하세요!"); }; const sayNothing = () => { console.log("..."); }; export { sayHello, sayNothing }; import { sayHello, sayNothing } from "./utils.js" 자주 보셨을 import-export 구문입니다. 그런데 조건에 따라 모듈을 불러오는 것도 가능할까요? // Error!!! if(person === "friend") { import { sayHello } from "./utils.js"; sayHello(); } else if(person === "professor") { import { sayNothing..

클로저(closure). 분명 한번은 들어봤지만 한번도 직접 써본적은 없는 그 문법입니다. 그런데 정말 없을까요? 오늘은 클로저가 무엇인지 한번 알아봅시다. let myName = "Chanmin"; function printName() { console.log(myName); // "Chanmin" } printName(); 실행 결과로 "Chanmin" 이 출력되는 것은 쉽게 예측할 수 있는데, 함수 안에서 어떻게 바깥의 myName 변수를 사용할 수 있었던 걸까요? 바로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클로저가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조금 복잡한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function outer(outerValue) { return function inner(innerValue) { cons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