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4365896/skin/images/react-logo.png)
목록📖 😾 Git & Github (7)
즐겁게, 코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0rrn/btrdwSwezze/jrGKRBeI2gy0bIaMfGVMvK/img.png)
오늘은 커밋을 수정하는 방법을 소개해보려 합니다. 이렇게 잘못 남긴 커밋 메시지가 있을때, 여러분들은 어떻게 메시지를 수정하시나요? 1번 유형 : 주석 등 무의미한 변경사항을 만들고, 메시지를 고쳐 새로운 커밋을 남긴다. 2번 유형 : git reset --soft 를 통해 커밋을 취소하고, 메시지를 고쳐 커밋을 다시 남긴다. 3번 유형 : 다음부터는 잘 남겨야겠다고 다짐한다. (^^;) 세 방법 모두 잘못된 방법은 아니지만 저는 지금까지 2번 유형으로 커밋 메시지를 수정하곤 했는데요, 이보다 더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amend 플래그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커밋 메시지 수정하기 git commit 커맨드에 --amend 플래그를 붙이면 직전에 남긴 커밋을 수정할 수 있게 됩니다. git c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XYrW/btrcOee5GSS/qKfEh5stUnnuAojT3zjJw0/img.png)
오늘 아침에는 프로젝트에 기능을 하나 추가하다가 커밋 메시지를 잘못 남긴 일이 있었습니다. 인터렉티브 리베이스를 하긴 뭔가 귀찮아서 git reset --hard HEAD^ 커맨드를 사용했는데요, 아뿔싸! 커밋과 스테이징은 물론 코드 수정사항까지 모두 이전 버전으로 되돌아가 코드를 다시 작성해야 했던 일이 있었습니다. 이런 일이 또 반복되지 않도록 git reset 커맨드의 내용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스테이징 취소하기 git add 커맨드로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올릴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실 텐데요, 저는 파일명을 명시하는게 번거로워 git add . 로 변경사항을 한꺼번에 스테이징하곤 합니다. 다만 이러다 보니 원치 않는 파일까지 한번에 스테이징된다는 문제가 종종 생겨, 스테이징을 취소할 방법이 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OuDw/btq5G1zF5wY/rMAaEDH9f8VLLNES83d9mK/img.png)
저희 산학프로젝트 팀은 깃과 깃허브를 통해 프로젝트 기록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커밋 로그를 확인해 보니... 아뿔싸! 뭔가 엄청난 일이 일어났음을 직감했습니다. 아무래도 팀원이 작업을 하면서 수정사항이 생길 때마다 커밋을 남겼고, 이걸 그대로 푸시해 머지한 듯 했습니다. 저도 커밋 템플릿을 완벽하게 지키고 있지는 않아 평소에는 별 생각없이 넘기곤 했지만, 이번에는 약 15건의 커밋 메시지가 의미없이 중복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커밋의 은탄환, 리베이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커밋도 정리할겸, 평소에 잘 활용할 기회가 없던 인터렉티브 리베이스를 연습해보기로 했습니다. 인터렉티브 리베이스 커맨드 git rebase -i HEAD~(헤드 포인터로부터의 거리) // Ex. 최근 5..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Xu9S/btq4bPVyYMJ/K1HfbcpqBcikcsZmgHd7gk/img.png)
오늘은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라이센스 라벨을 부여하고 싶어 저장소를 온통 뒤져봤는데요, 아무리 찾아봐도 라이센스 관련 항목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 결국 구글링을 통해 찾아낸 방법을 소개해드리려 하는데요, 생각보다 훨씬 짧고 간단하니 가볍게 읽어주세요! 📋 깃허브 저장소별 라이센스 부여하기 첫 번째 방법은 저장소를 생성할 때 라이센스를 함께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Choose a license] 항목을 체크하고, 적용할 라이센스를 선택하기만 하면 끝입니다! 다만 이미 생성된 프로젝트에는 어떻게 라이센스를 부여할 수 있을까요? 저장소 메뉴 중 [Add file]을 누른 후, [Create new file]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License(확장자와 대소문자는 상관없습니다!) 라고 입력하면 [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7k5x/btqYvem7l9x/mrQ9YIYr0ntKN2K1r6lEy1/img.png)
{ "message": "API rate limit exceeded for 110.14.126.182. (But here's the good news: Authenticated requests get a higher rate limit. Check out the documentation for more details.)", "documentation_url": "https://docs.github.com/rest/overview/resources-in-the-rest-api#rate-limiting" } 깃허브 클론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깃허브 api는 시간당 60회 호출 제한이 걸려있어 프로젝트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컴포넌트가 재렌더링될때마다 함수에서 데이터를 요청하기 때문에 불과 몇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LTm8/btqYiCtjy4h/3vqiYvn5FVKGCfJFipSOQ1/img.png)
깃과 커밋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인데, 가슴에 손을 얹고 제 깃허브를 되돌아보면 커밋 메시지가 제대로 적힌 내용이 드뭅니다. 😅 물론 갈수록 의식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정확한 기준을 잡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커밋 메시지에 대해 정리해보기로 했습니다. 🤔 왜 좋은 커밋 메시지를 남겨야 하는가? 거창하게 소제목을 뽑았지만 사실 좋은 질문은 아닌 것 같습니다. 깃이 뭔지 모르는 사람이라도 '좋은' 무언가를 남겨야 한다는 데에는 동의할 것이기 때문인데요, 그렇다면 질문을 조금 바꿔서 왜 우리는 좋은 커밋 메시지를 남기지 못하는 걸까요? 아마 가장 솔직한 대답은 "귀찮아서" 또는 "어차피 혼자 진행할 프로젝트니까" 정도가 될 것 같네요. 하지만 한편으로는 "제대로 남기고 싶어도 어떻게 남겨야 할지 몰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IEQh/btqWX6v09T9/lUrpFLWHHVvkdKCMNmqkbk/img.png)
짧은 내용이지만 꿀팁이 될 것 같아 남겨봅니다. conwnet/github1s One second to read GitHub code with VS Code. Contribute to conwnet/github1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github1s 라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깃허브 저장소에 담긴 코드를 클론할 필요 없이 온라인 VSCode 환경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github.com/C17AN/vue-todo 저장소의 코드가 궁금한데 클론까지 해가면서 내용물을 들여다보기는 귀찮다 싶을 때, 도메인을 gitbhub 에서 github1s 로 고쳐 보세요. (github.com/C17AN/vue-to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