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리액트 (24)
즐겁게, 코드
리액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상태를 위에서 아래로밖에 전달할 수 없지만, 컨텍스트(context)를 활용하면 전역으로 상태값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리액트의 컨텍스트는 자바스크립트와는 달리 '데이터 저장소' 라고 생각하면 된다.) [context의 기본 사용법]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 컨텍스트(데이터 저장소) 생성 const MyContext = React.createContext(defaultValue); // Provider 생성 ... ----------------------------------------------------------- // 에서 {value => /* context 값을 이용한 렌더링 */} 1. 컨텍스트를 활용하기 위해서..
useMemo 훅은 useState와 useEffect에 비해서는 존재감이 다소 떨어지지만 강력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바로 메모이제이션을 구현해 함수의 중복 동작을 막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한번 사용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useMemo 훅의 기본 형태] import React, {useMemo} from 'react' const memoizedValue = useMemo(() => { return (수행할 동작 (주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 [의존값]); 리액트 컴포넌트는 재렌더링될때마다 컴포넌트 내의 모든 함수를 다시 호출하지만, useMemo를 사용하면 의존값으로 주어진 값이 변경될 때만 특정 함수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import React, { useState,..
리액트로 컴포넌트를 만들때 함수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것이 대세가 된 지금 함수 컴포넌트에서 클래스 컴포넌트의 동작을 구현하는 훅(Hook)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오늘은 리액트 훅의 기본적인 특징과 클래스 컴포넌트의 상태를 구현하는 useState 훅에 대해 알아보자.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function decrementCount() { // count 가 들어간 부분을 재렌더링함. setCount((prevCnt) => prevCnt - 1); } function incrementCount() { // count 가 들어간 부분을 재렌더링함. 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