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4365896/skin/images/react-logo.png)
목록📖 전체보기 (254)
즐겁게, 코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urC8/btqRwbDysGC/eDS3ySiKXI7AsyrUpFaTt1/img.png)
useEffect 훅은 컴포넌트의 부수동작(effect) 을 담당하는 훅으로 기본 훅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훅이라 할 수 있다. (부수동작이란 컴포넌트가 처음 마운트될때 / 컴포넌트가 업데이트될때 / 컴포넌트가 언마운트될때 일어나는 모든 동작을 의미한다.) [useEffect 훅의 기본 형태] import React, {useEffect} from 'react' useEffect( (이펙트 함수) return { (클린업 함수) } }, [의존값]); // 이펙트 함수 호출시점 : 컴포넌트가 처음 마운트될 때, 의존값으로 주어진 값이 변경될 때 // 클린업 함수 호출시점 : 이펙트 함수가 호출되기 전, 컴포넌트가 언마운트될때 각각 클린업이 호출된다. // 의존값 배열이 비어 있으면 최초 마운트 시에만 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hhSq/btqRqReEJOo/PyGXxmoc69I37r7PcSPPfK/img.png)
리액트로 컴포넌트를 만들때 함수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것이 대세가 된 지금 함수 컴포넌트에서 클래스 컴포넌트의 동작을 구현하는 훅(Hook)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오늘은 리액트 훅의 기본적인 특징과 클래스 컴포넌트의 상태를 구현하는 useState 훅에 대해 알아보자.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function decrementCount() { // count 가 들어간 부분을 재렌더링함. setCount((prevCnt) => prevCnt - 1); } function incrementCount() { // count 가 들어간 부분을 재렌더링함. 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