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cloud native (2)
즐겁게, 코드
IT 서비스가 커져감에 따라 인프라의 민첩성, 확장성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게 되었고, 때맞춰 등장한 AWS나 컨테이너 등의 기술은 그 열쇠가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도입했을 때 전통적인 인프라에 비해 어떤 이점을 가져갈 수 있는지 나름대로 정리해보려 합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란 "클라우드 네이티브" 라는 말이 꽤나 거창하고 두루뭉실하게 들릴 수도 있는데요,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문서를 찾아보면 다음 구절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이러한(= 클라우드) 기술을 사용하면 복원력, 관리 가능 및 관찰 가능한 느슨하게 결합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강력한 자동화(= 데브옵스)와 결합되어 엔지니어는 최소한의 수고로 자주 예측 가능하게 높은 ..
파드의 임시 IP(Ephemeral IP)로 인한 불편함 쿠버네티스에서 파드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파드의 IP주소를 확인한 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파드는 재실행될 때마다 새로운 임시 IP(ephemeral IP)를 무작위로 부여받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를 운영하는 중 파드는 리소스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제거되었다가 재생성되는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는데요, 파드가 재생성될 때마다 매번 달라지는 임시 IP를 사용하는 것은 굉장히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의 역할 이처럼 파드의 임시 IP 대신 정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고정된 IP를 제공해주는 것이 바로 서비스 로, 서비스는 파드로 보내지는 요청을 앞단에서 관리할 수 있는 역할을 합니다. 서비스의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