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4365896/skin/images/react-logo.png)
목록📖 NeXT (2)
즐겁게, 코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7cAts/btq53RwJ3qI/donN23heOf8Oo5Zem2Mfz1/img.png)
Next.js에는 두 가지 중요한 기본 페이지가 있는데요, 바로 _document와 _app 입니다. _document와 _app에는 페이지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내용을 작성하곤 하는데, 둘이 정확히 어떻게 다른지와 어떤 내용을 작성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 App 페이지 _app은 서버로 요청이 들어왔을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컴포넌트로, 페이지에 적용할 공통 레이아웃의 역할을 합니다. 🎯 주요 사용 목적 모든 컴포넌트에 공통으로 적용할 속성 관리 function MyApp({ Component, pageProps }) { return } export default MyApp ⚙️ 규칙 1. Component 속성값은 서버에 요청한 페이지가 됩니다. (Ex. http://localhos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TbcyH/btqYpVTLKu5/7q8bt8gua1TPDe0RvbamXk/img.png)
기존 리액트 어플리케이션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스타일을 꾸밀 수 있었습니다. 하나는 CSS나 SASS 등 별도의 스타일 파일을 생성해 관리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컴포넌트 안에서 스타일을 작성하는 CSS-in-Js 라는 방식입니다. 이중 넥스트(Next.js)에서는 CSS-in-js 방식을 권장하며, styled-component와 유사한 styled-jsx 라는 도구를 활용합니다. styled-jsx styled-jsx는 넥스트 프로젝트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jsx 라는 값을 속성으로 갖는 style 태그를 컴포넌트 본문에 위치시킨 후, 적용할 CSS 스타일을 *문자열로 작성하면 됩니다. (* 상태에 따른 조건부 스타일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살리기 위해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