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4365896/skin/images/react-logo.png)
목록📖 KMS (1)
즐겁게, 코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scw22/btryUgoCsfS/Cg9Vryy20j1k5vojPHpiT1/img.png)
S3 버킷에 담긴 데이터(객체)의 암호화는 크게 "서버에서 암호화하느냐, 클라이언트에서 암호화하느냐" 로 나뉩니다. 서버 사이드 암호화 (SSE) 서버 사이드 암호화 방식에는 크게 SSE-S3, SSE-KMS, SSE-C 의 3종류가 존재합니다. SSE-S3 SSE-S3는 AWS에서 제공 / 관리되는 키를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입니다. 암호화 방법은 정말 간단한데요, 버킷에 객체를 업로드할 때 헤더에 "x-amz-server-side-encryption": "AES256" 키-값 쌍을 추가해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S3에서 제공되는 키를 통해 암호화됩니다. ✅ 헤더에 추가하는 값을 보면 추측할 수 있듯, SSE-S3는 AES256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SSE-KMS SSE-KMS는 AWS K..
☁️ 클라우드/AWS
2022. 4. 10. 00:46
소소한 팁 : 광고를 눌러주시면, 제가 뮤지컬을 마음껏 보러다닐 수 있어요!
와!! 바로 눌러야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