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4365896/skin/images/react-logo.png)
목록📖 코딩테스트 (4)
즐겁게, 코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iAQHy/btq3mOQ4wlm/PMFBEG1AegQUoAaN0eogU1/img.png)
[백준 온라인 저지 링크] 1051번: 숫자 정사각형 N*M크기의 직사각형이 있다. 각 칸은 한 자리 숫자가 적혀 있다. 이 직사각형에서 꼭짓점에 쓰여 있는 수가 모두 같은 가장 큰 정사각형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이때, 정사각형은 행 또는 www.acmicpc.net (0, 0)부터 시작해 2차원 배열의 각 인덱스를 순회하며 가능한 정사각형을 구한 뒤, 꼭지점의 값들이 모두 같은지 여부를 체크하면 됩니다. 구현 아이디어가 어려운 편은 아니지만, 정사각형의 인덱스가 원래 배열을 넘어서지 않게 하는데 애를 꽤나 먹었었네요. (결국 이 부분은 조건문을 별도로 두어 처리했습니다.) 또, 명시되지 않은 부분이지만 입력으로 1 * 1 배열이 주어지면 0이 아닌 1을 출력해야 합니다. [정답 코드 - Py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5mlF/btq3njXr91j/RjzFADgRhkq9SGvyCDpQc1/img.png)
[백준 온라인 저지 링크] 1895번: 필터 숫자 9개가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을 때, 중앙값은 다섯 번째 숫자이다. 예를 들어, 1, 3, 4, 1, 2, 6, 8, 4, 10의 중앙값은 4이다. (1 ≤ 1 ≤ 2 ≤ 3 ≤ 4 ≤ 4 ≤ 6 ≤ 8 ≤ 10) 이미지 I는 www.acmicpc.net 2차원 배열을 순회하며 3 * 3 크기의 부분배열을 구한 뒤, 해당 부분배열의 중간값들로 이루어진 배열을 생성합니다. 그리고 중간값들의 배열을 순회하면서 T보다 크거나 같은 값의 개수만 세주면 됩니다! [정답 코드 - Python] R, C = map(int, input().split()) image = [] filtered = [] cnt = 0 def findMid(R, C): glob..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wDld/btq2M3nAdgZ/KLEIsMfzJWJKWLPhRuY1Xk/img.png)
[백준 온라인 저지 링크] 20055번: 컨베이어 벨트 위의 로봇 길이가 N인 컨베이어 벨트가 있고, 길이가 2N인 벨트가 이 컨베이어 벨트를 위아래로 감싸며 돌고 있다. 벨트는 길이 1 간격으로 2N개의 칸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칸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1부 www.acmicpc.net 애매한 점을 하나 정리해드리면, N번째 지점은 밟자마자(발판이 움직이든 로봇이 움직이든) 내려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 로봇이 전진하기 위해 현재 칸에 로봇이 있어야 하고 다음 칸에는 로봇이 있어서는 안되는 걸 잊으면 안됩니다! (이걸 처리하지 않으면 세 번째, 네 번째 케이스에서 걸립니다 ㅠㅠㅠ) if belt[N - i] > 0 and robot[N - i - 1] == True and robot[N - 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SOMP/btqZLs3YhBj/IJCmCljHBkPvasA9VMgg4k/img.png)
[백준 온라인 저지 - 문제 링크] 아이디어도 아이디어지만, 은근히 구현이 어렵게 느껴진 문제였습니다. [정답 코드 - Python] N = int(input()) t = [0] for i in range(N): t.append(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eversed(range(N)): for j in range(i): t[i][j] = t[i][j] + max(t[i + 1][j], t[i + 1][j + 1]) print(*t[1]) 풀이는 아이패드 구입 후 조만간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