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ext.js
- 블록체인
- k8s
-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 백엔드
- kubernetes
- AWS
- 리액트
- BFS
- react
- 백준
- 프론트엔드
- 이슈
- VUE
- 솔리디티
- 이더리움
- CSS
- TypeScript
- 클라우드
- HTML
- 알고리즘
- 웹
- 타입스크립트
- 파이썬
- 쿠버네티스
- 가상화
- 컴퓨터공학
- docker
- es6
- Today
- Total
즐겁게, 코드
SOLID 원칙 정리 : 단일 책임 원칙, 개방 폐쇄 원칙 본문
SOLID 원칙은 작은 모듈을 만들거나 큰 아키텍처를 기획할 때 모두 유용하게 사용되는 원칙입니다.
이 원칙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만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이 아니라,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때 이 원칙을 지켜가며 설계하면 소프트웨어의 유연성과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됩니다.
SOLID 란?
- S : Single Responsive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
- O : Open Closed Principle (개방 - 폐쇄 원칙)
- L :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리스코프 치환 원칙)
- I :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 D :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의존성 역전 원칙)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ve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에 대한 가장 큰 오해는 한 모듈이 하나의 동작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인데요, 이름 때문에 헷갈릴수도 있지만 이와는 엄밀히 다른 내용입니다.
단일 책임 원칙의 정의는 한 모듈은 한 사용자(액터)를 위해 작동해야(= 책임져야) 한다는 것으로, 다음 코드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function Employee(name, pos, hours) {
this.name = name;
this.pos = pos;
this.hours = hours;
// 재정팀이 사용할 급여 계산 메서드
this.calculatePay = function() {
...
}
// 인사팀이 사용할 근무시간 계산 메서드
this.calculateWorkHours = function() {
...
}
// 시스템이 사용할 데이터 갱신 메서드
this.updateData = function() {
...
}
}
Employee
모듈을 설계하고, 모듈에서 사용할 여러 메서드들을 한번에 정의한 모습입니다.
그런데, 과연 이게 좋은 설계일까요?
모듈에서 사용하는 함수들을 살펴보면 calculatePay
는 관리자(Ex. 재정팀)에 의해 사용될 것이고, calculateWorkHours
와 updateData
는 각각 다른 사용자를 위해 설계된 함수이므로 이는 단일 책임 원칙에 어긋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일 책임 원칙을 만족시키기 위해 위 모듈에 다음과 같이 리팩토링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EmployeeData(name, pos, hours) {
this.name = name;
this.pos = pos;
this.hours = hours;
}
// 재정팀이 사용할 기능을 PayCalculator 모듈로 분리한다.
function PayCalculator(employeeData) {
this.data = employeeData;
this.calculatePay = function() {
...
}
}
// 인사팀이 사용할 기능을 WorkHourCalculator 모듈로 분리한다.
function WorkHourCalculator(employeeData) {
this.data = employeeData;
this.calculateWorkHour = function() {
...
}
}
// 시스템이 사용할 기능을 SystemDataUpdator 모듈로 분리한다.
function SystemDataUpdator(employeeData) {
this.data = employeeData;
this.updateData = function() {
...
}
}
이제 각 모듈들은 저마다 다른 사용자를 위해 동작하므로, 단일 책임 원칙을 충족했다고 볼 수 있으며 유연한 설계가 가능해집니다.
개방-폐쇄 원칙 (Open - Closed Principle)
개방 - 폐쇄 원칙의 정의는 "소프트웨어는 확장에는 개방되어 있고, 수정에는 폐쇄적이어야 한다" 는 내용입니다.
이는 코드의 리팩토링과 관련된 원칙으로, 즉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기존 코드(함수)를 변경하는 대신, 해당 기능을 위한 코드(함수)를 새로 추가하라" 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역시 코드로 알아보겠습니다.
// 접근 권한을 가진 역할군들
let accessibles = ['CEO', 'CTO', 'CFO', 'STAFF'];
function isAccessible(employee) {
if(accessibles.includes(employee.role) {
// 해당 직원이 접근 권한을 가질 경우
return true;
} else {
// 접근 권한이 없을 경우
return false;
}
}
먼저 isAccessible
함수는 accessibles
배열을 사용하지만 이를 함수 내부가 아닌 함수 외부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만약 accessibles
배열에 새로운 역할군을 추가해야 한다면 어떻게 할까요?
// 배열을 직접 수정하는 대신, 역할군 추가를 위한 함수를 생성한다.
// let accessibles = ['CEO', 'CSO', 'CTO', 'CFO', 'STAFF'];
let accessibles = ['CEO', 'CTO', 'CFO', 'STAFF'];
// 역할군 추가를 위해 생성한 함수
function addAccessibles(role) {
accessibles.push(role);
}
function isAccessible(employee) {
if(accessibles.includes(employee.role) {
// 해당 직원이 접근 권한을 가질 경우
return true;
} else {
// 접근 권한이 없을 경우
return false;
}
}
이렇게 accessibles
배열을 직접 수정하는 대신, addAccesibles
라는 함수를 새로 만들어 역할군을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한 모습입니다.
'🖥 컴퓨터공학 > 디자인 패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LID 원칙 정리 : 리스코프 치환 원칙,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1) | 2021.08.31 |
---|